혹시 “건강검진이나 뇌 CT 혹은 MRI를 찍었는데 뇌동맥류 소견이 나왔다?!”
무조건 걱정부터 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냥 넘기면 큰일 날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 뇌동맥류가 무엇인지?
✔ 증상에 따라 어떻게 치료하는지?
✔ 시술과 수술의 차이
✔ 어떤 약을 먹어야 하는지
✔ 그리고 꼭 알아야 할 관리법까지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렸습니다.
지금 확인하시고,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하세요.
건강은 미리 알고 준비하는 사람이 지킵니다.
뇌동맥류란?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는 뇌혈관 벽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약해지면서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입니다.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는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일단 파열되면 지주막하출혈을 유발해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습니다. 40~60대에서 많이 발생하며, 흡연, 고혈압, 가족력 등이 주요 위험 요인입니다.
주요 증상
① 비파열성 뇌동맥류
- 대부분 무증상
- 커질 경우 두통, 시야장애(시야 흐림 또는 이중시야), 눈 뒤 통증, 안면 근육 약화 등이 드물게 발생
② 파열성 뇌동맥류 (지주막하출혈)
- 갑작스럽고 극심한 두통 (번개가 치듯이 오는 ‘벼락두통’)
- 구토, 목 경직, 의식 혼미
- 발작, 편마비, 언어장애
- 치명률이 높으며, 즉시 응급처치가 필요
진단 방법
- CT 및 MRI: 출혈 여부 확인
- CT 혈관조영술(CTA), MR 혈관조영술(MRA): 동맥류의 위치와 크기 파악
- 뇌혈관 조영술(DSA): 가장 정확하며 시술 및 수술 전 계획에 중요
치료 방법
뇌동맥류의 크기, 위치, 파열 여부, 환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1. 파열되지 않은 경우 (예방적 치료 포함)
① 경과 관찰
- 작은 크기(5mm 미만)이고 증상 없을 시 주기적인 영상검사로 모니터링
- 고혈압 및 생활습관 관리 (금연, 금주)
② 예방적 수술
- 수술적 치료는 동맥류의 크기나 성장 가능성이 크거나 위치상 위험할 경우 시행
- 주요 시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리핑 (개두술) | 머리를 열어 클립으로 동맥류 목을 막음 | 확실한 폐색, 재발 낮음 | 전신마취, 회복 기간 김 |
코일 색전술 | 혈관 내 접근, 동맥류 안에 백금 코일 삽입 | 비침습적, 회복 빠름 | 재치료 가능성 있음 |
![]() |
2. 파열된 경우 (응급처치)
- 즉시 입원 후 수술적 봉합 필요
- 클리핑 또는 코일 색전술로 출혈 차단
- 출혈 후 혈관경련 예방 및 뇌손상 최소화 위한 집중치료 병행
치료 후 관리 및 약물
① 항고혈압제
- 재파열 방지를 위한 혈압 조절
② 항경련제
- 발작 예방 (특히 출혈 후)
③ 칼슘통로 차단제 (예: 니모디핀)
- 혈관경련 예방
④ 진통제, 항우울제 등
- 증상 조절, 정서적 회복에 도움
⑤ 금연 보조제, 콜레스테롤 조절제
- 재발 방지 및 혈관 건강 유지
예후와 재활
- 파열된 경우 1/3은 사망, 1/3은 장애, 1/3만이 완전 회복
- 조기 진단 및 치료로 생존율 높일 수 있음
- 인지 기능 저하, 피로, 우울 등 후유증 가능성
- 재활치료, 심리상담, 정기적 뇌 영상검사 필요
예방을 위한 생활 관리
- 금연 및 절주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적극 치료
- 스트레스 관리와 규칙적인 수면
- 갑작스러운 무거운 물건 들기나 과격한 운동 자제
이상 뇌동맥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러가지 검사를 통해 뇌동맥류 소견이 발견되시면 즉시 상급병원의 정밀 검사 및 시술, 수술 등의 치료를 빠르게 할 수록 더 큰 뇌출혈 및 뇌졸중 등의 건강 문제로 이어지지 않도록 대처하는 방법일 것 입니다.
일단 검진 및 검사를 통해 뇌동맥류 소견이 의심된다는 소견을 받으셨다면, 해당 의료기관의 안내를 따라 가까운 상급병원의 신경외과로 대부분 안내를 받으실 것 같습니다.
위 글에서 설명드린바와 같이 시술 및 수술, 약으로 유지 등 다양한 치료 및 예방 방법 등이 있으니 꼭 숙지하셔서
뇌 촬영 CD
소견서
진단서
복용중인 약
등의 준비 자료들을 가지고 상급병원 진료를 받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수호천사흑표범-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병(신부전)은 무엇인가? (0) | 2025.05.10 |
---|---|
수면 무호흡증과 수면 무호흡 증후군 (Sleep Apnea Syndrome: SAS) (0) | 2025.03.19 |
심장질환 심부전은 무슨 병이고 원인은 무엇인가? (0) | 2025.02.15 |
반복되는 운은 실력이고 반복되는 실패는 습관이다 (0) | 2025.02.15 |
잠을 못 잤을 때 혈압이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