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

수면 무호흡증과 수면 무호흡 증후군 (Sleep Apnea Syndrome: SAS)

by 수호천사흑표범 2025. 3. 19.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개요와 역학

개요

- 수면 중에 무호흡을 반복함으로써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질병이며 흔히 수면 무호흡증이라고 합니다.

역학

- 성인 남성의 약 3~7%, 여성의 약 2~5%로 볼 수 있습니다. 남성에서는 40~50세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반면, 여성에서는 폐경 후에 증가합니다.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발병 메커니즘

-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공기의 거리(상기도)가 좁아짐에 의해 생기는 폐색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과 뇌에서 호흡을하는 지령이 오지 않게되며 생기는 중추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2 종류로 분류됩니다.

 상기도가 좁아져 발생한 수면 무호흡 중상은 목 주위 침착이 많으면 상부기도는 좁아져 발생하기가 쉽고, 특히 비만 환자가 SAS와 깊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편도비대, 비대한 , 비염이나 비중격 만곡증 등 코의 병이 원인이 됩니다. 턱이 후퇴하고 있거나, 턱이 작은 것도 SAS의 원인이 되며, 비만이 아니더라도 수면 무호흡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증상과 진단 및 치료

증상

- 코콜이, 야간 빈뇨, 낮의 졸음이나 기상시의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낮에 졸음은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고, 졸음 운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각종 노동 재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진단

-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문진 등으로 기본 구분을 할 수 있으며, SAS가 의심되는 경우 휴대형 장치에 의한 간이 검사나 수면 폴리그래프 검사(PSG)로 수면중의 호흡 상태의 평가를 실시합니다. PSG에서 시간당 무호흡과 저호흡을 합한 횟우인 무호흡 저호흡 지수(AHI)가 5 이상이며, 상기 증상을 동반할 때 SAS로 진단합니다. 그 중증도는 AHI 5~15를 경증, 15~30을 중등증, 30 이상을 중증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치료

- AHI가 20 이상으로 일과 중 졸음 등을 인정하는 SAS 환자에서는 지속적 양압술(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CPAP)이 표준 치료로 되어 있습니다. CPAP는 마스크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기를 보내는 것으로 좁아진 기도를 넓히는 치료법입니다. 또한 아래 턱을 앞으로 움직이는 구강 내 장치(마우스 피스)를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소아의 SAS에서는 아데노이드, 구강 내 편도비대가 원인인 경우가 많고, 이 경우 아데노이드,구개 편도 적출술이 유효합니다.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생활상의 주의 및 예후

생활상의 주의

- 비만자는 체중 감량으로 무호흡의 정도가 줄어드는 경우가 많고, 식생활이나 운동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 알코올은 수면의 질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수면 무호흡 증상을 보이는 환자라면 저녁 식사 중 삼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후

- 성인 SAS에서는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 등을 일으키는 위험성이 약 3~4배 높아지고, 특히 AHI 30 이상의 중증 환자에게서는 심혈관계 질환 발병의 위험성이 약 5배나 됩니다. 그러나 CPAP 치료를 통해 건강한 사람과 동등하게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것이 최근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