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질환 심부전은 무슨 병이고 원인은 무엇인가?
심부전의 정의
- 심부전이란 심장의 구조적, 기능적 비정상적 상태로, 말초 기관에 필요한만큼의 산소를 전달하지 못하는 상태를 일컫는다.
- 심장의 기능적, 구조적 이상으로 심실의 혈액 충만, 심실의 혈액 박출에 이상이 발생하여 울혈 혹은 피로 등이 발현되는 질병이다.
심부전의 진단은 다음의 조건들이 함께 만족이 이루어질 때 진단된다.
1. 전형적인 증상
- 호흡곤란
- 피로
- 발목부종
2. 전형적인 징후
- Tachycardia
- Tachypnea
- Pulmonary rale
- Pleural effusion
- Raised JVP
- Peripheral edema
3. 객관적 심장 이상
- Cardiomegaly
- S3
- Cardiac murmur
- 심포음파 이상
- Natriuretic peptide 증가
심부전에 대한 사람들의 오해
대부분 사람들은 심부전이 하나의 질환에 대한 질환, 병명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틀린 것이다.
심부전은 앞서 정의에서 소개한대로 '심장의 기능적, 구조적 이상으로 심실의 혈액 충만, 심실의 혈액 박출에 이상이 발생하여 울혈 혹은 피로 등이 발현되는 질병' 즉, 심장이 각종 장기와 조직의 대사에 필요한 혈류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통칭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심부전 환자들이 운동을 할 때, 매우 주의하거나 하지 않아야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정확한 사실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일주일에 3~5회, 한번에 30분 정도의 유산소 운동이나 하체 위주의 가벼운 근력 운동을 하게 된다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부전 질환의 질행이나 사망 위험률을 매우 낮출 수 있으므로 가벼운 운동을 빈도를 맞추어 병행해주는 것이 좋은 방법일 것이다.
심부전의 치료
보통 심부전은 초기의 환자들에게는 약물 치료로 증상이 많이 조절되고, 호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의적으로 심부전 환자들이 약 복용을 중단하거나 지속적으로 복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심부전 질환의 환자는 증상을 조절하는 것 외에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망률을 낮추는, 즉 오랜시간 동안 질명의 위험도를 낮추며 생존율을 높이는 노력으로 꾸준히 일정 용량과 개수의 약물을 복용하여야 한다.
심부전 환자의 영양 보충과 몸무게 관리
심부전 환자는 자주 체중을 측정하는 것을 안내받게 되는데, 이는 체내에 과다한 수분이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체크를 위한 것이다. 이러한 수분 체크에 쉬운 방법으로는 체중계의 몸무게에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을 것이다. 또한 소화나 흡수 기능이 많이 떨어져 영양 부족을 우려하는 경구가 많은데 균형 잡힌 식단과 식사량 그리고 염분을 섭취하는 양을 특히 조절해서 관리한다면 심부전 환자에게 몸무게와 영양 보충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 무호흡증과 수면 무호흡 증후군 (Sleep Apnea Syndrome: SAS) (0) | 2025.03.19 |
---|---|
반복되는 운은 실력이고 반복되는 실패는 습관이다 (0) | 2025.02.15 |
잠을 못 잤을 때 혈압이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0) | 2025.02.15 |
혈당은 언제 측정하는 게 가장 정확할까? (0) | 2025.02.15 |